Linux [호주] 아마존AWS 서버설정 및 서버 적용 부분 (완료)
페이지 정보
본문
아마존 AWS 서버 설정 및 서버 적용 부분에 대한 짧은 생각
호주에 계시는 분이 네이버를 통해 아마존AWS 서버 설정을 부탁했다. 뭐, 늘상 있을 수 있는 거지만, 서버를
설정하는 것은 보이지 않는 부분을 설정하는 것이므로 보이진 않더라도 늘 조심스럽고, 해야 할 것이 많은
만큼, 앞으로 유지보수해야 할 부분과 다른 디자이너가 고생하지 않도록 해줘야 하는 부담까지 있다.
모든 일에 비용도 중요하지만, 서버를 만지는 사람은 의뢰한 사람 또는 기업의 대부분을 볼 가능성이
많으므로, 그날 본건 그날 잊어버리는 걸로 생각해야 한다. 봐도 못본 것으로 그냥 리셋해야 맘도 편하다.
서버 선택 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의 존재속에 centos8이 올라와 있지만, 설정을 우분투로 정했다.
redhat 계열이 편하지만, 신뢰부분도 중요하고, 다른 누군가가 만질 수 있도록 해야 하는 부분에 한번 더
난감하게 만든다. 불완전한 최신판과 검증된 운영체제를 고른다고 하면, 난 검증되고 지원 기간이 비교적 남은
운영체제가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아마존AWS 서버를 마무리하는 부분에서 ftp 연동과 동작 부분에서 알ftp 적용이 안되는 것이 전체 서버
설정 시간보다 더 걸린 것으로, 파일질라를 통해 문제없이 동작하도록 했다. 되던게 안되면 늘 난감하다.
복잡한 설정 부분이 생략된 서버 설정이지만, 서버 시장에서 가상 코어 하나와 8기가 용량의 아마존 서버는
나름의 매력도 있고, 저렴한 부분에서 손쉽게 접근 할 수 있어 보인다. 다만, 접속이 몰리거나 부하가 증가하면
실 서버로 구현해야 할 만큼 동작하기를 바라면서, 멀리서 고생하는 의뢰한 맘을 생각한다.
작은 꿈이라는 맘에 멀리 고생하던 동생도 생각나고, 대조되듯 멋진 꿈을 끌어안고 살아갈 젊은 날의
희망과 열정을 부럽게 바라보는 시간이기도 하였다.
힘찬 시작을 알리는 웹서비스에 그의 성공을 기원한다.
written by simmon
simmon@nplob.com 카톡 ID Festif
- 이전글[Dec. 2020] HP Z400 서버 서비스 플랫폼 구축 4대 (완료) 19.12.31
- 다음글[Sep. 2019] 한양대 딥러닝(자연과학대) 우분투 서버 복구 (완료) 21.01.1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